Page 57 - 고경 - 2022년 6월호 Vol. 110
P. 57

치를 가지고 논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초기 선종의 ‘유정유성’의 채택과 ‘무정유성’의 비판




               그러나 선종의 사상과 종단
             의 본격적인 토대를 구축한 동
             산법문東山法門에서는 명확하게

             ‘유정유성’의  불성론을  채택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산법문
             을  개창한  도신道信은  자신의

             선사상적 핵심을 ‘오문선요五門
             禪要’로 제시하는데, 그것은 “지

             심체知心體, 지심용知心用, 상각
                                           사진 1. 사조도신四祖道信 선사.
             부정常覺不停, 상관신공적常觀身
             空寂, 수일불이守一不移” 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심’의 체용體用에 대한
                                 1)
             체득體得으로부터 선사상을 구성하고 있음을 여실하게 알 수 있다.

               더욱이 ‘수일불이’에 대하여 “『장자莊子』에서는 ‘천하는 일지一指이고, 만
             물은 일一이다’라고 설한다. 『법구경法句經』에서는 ‘일’이 또한 ‘일’이 되지 않
             음이니, 제수諸數를 논파하기 위함이다. 얕은 지혜를 가진 이는 ‘일’을 듣고

             서 ‘일’을 ‘일’로만 여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장자』에서는 오히려 ‘하






             1)  [唐]淨覺, 『楞伽師資記』(大正藏85, 1288a), “一者, 知心體. 體性淸淨, 體與佛同. 二者, 知心用. 用生法
               寶, 起作恒寂, 萬惑皆如. 三者, 常覺不停. 覺心在前, 覺法無相. 四者, 常觀身空寂. 內外通同, 入身
               於法界之中, 未曾有碍. 五者, 守一不移. 動靜常住, 能令學者明見佛性, 早入定門.”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