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102
남아 있었던 것 같으나 현재
는 진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청량산을 유람한 주세붕
선생은 김생굴金生窟을(사진
5) 답사한 글을 쓸 때 자신
이 김생의 서첩을 가지고
있는데 김생굴에 와서 보
니 김생의 필체가 청량산
의 빼어난 바위들을 닮아
그렇게 된 것 같다는 감회
를 남겼다. 미수眉叟 허목許
穆(1595~1682) 선생은 그의
「청량산유람기」에서는 김생에
사진 7. 갈라산 문필봉.
대한 언급을 남기지 않았지
만, 시랑侍郞 허옥여許沃汝가 소장하고 있는 김생의 진적을 본 적이 있다고 쓴
글을 남겼다. 1821년 청량산을 유람하며 김생굴을 들러본 적이 있는 사진士珍
이해덕李海德(1779~1858) 선생은 승려들이 보여준 김생의 진적 2첩을 보았던
사실을 유람기에 적고 있다. 각각 금분金粉과 은분銀粉으로 쓴 작은 글씨였
는데, 서첩에는 작은 부처를 여럿 그려 놓았다고 적어 놓고 있다. 현재는
김생의 진적이 없기에 한국 서예사에서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의 탑본
과 이 낭공대사탑비의 탑본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사진 6).
안동의 갈라산葛蘿山에는 김생이 글씨 연습을 했다고 하여 문필봉文筆
峰이라고 부르는 봉우리가 있고(사진 7), 봉화의 청량산에는 현재의 청량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