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97

(?~1024)은 고려 초기에 정당문학政
             堂文學 이부상서吏部尙書와 문하평장
             사門下平章事를 지낸 명신名臣이었다.

               아무튼 낭공대사탑비는 바로 세워

             지지  못하고  고려시대에  와서  광
             종光宗(재위 949~975) 5년(954년)에 봉
             화군  태자사에  단목端目화상이  김

             생金生(?~?)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세웠다. 비 건립의 전말은 낭공대사
             의 법손인 순백純白 화상이 비를 세
             울 당시에 ‘신라국석남산고국사비명

             후기新羅國石南山故國師碑銘後記’를  추

             가로 짓고 역시 김생의 글씨를 집자
             하여 비의 뒷면에 새겨 놓았다(사진
                                                사진 3. 낭공대사탑비 후면.
             3).  낭공대사탑비의  글씨는  숭태嵩
             太, 수규秀規, 청직淸直, 혜초惠超 화상이 새겼고, 비 건립 실무의 총책임은

             석남사 장로인 형허逈虛 화상이 맡았다.


                낭공대사탑비의 운명




               이 비는 그 후 태자사의 당우들이 사라진 빈 터 수풀 속에 오랫동안 방
             치되어 있었다. 1509년 지금의 영주인 영천榮川 군수로 와 있던 이항李沆
             (?~1533)은 이 비가 봉화현에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옛 절터에 가서 발견하

             고 김생의 글씨임을 확인하였다. 그는 과거 안평대군이 편집한 『비해당집



                                                                          95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