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58

불도의 ‘삼교합일三敎合
                                                    一’ 등의 사상적 흐름이
                                                    발생하게 되었다. 사실

                                                    상 혜충이 ‘무정불성’을

                                                    제창했던  의도는  바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

                                                    겠다.

                                                      무엇보다도 혜충은 ‘제
                                                    종융합’을 위해서 각 종
                                                    파에 있어서 가장 심층적

                                                    인 ‘불성’에 대한 융합을

                                                    시도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명확하
                                                    게 ‘유정유성’의 입장을
          사진 3. 형계담연 대사탑.
                                                    견지하고  있는  남종선

          에 ‘무정유성’의 사상을 제시하여 ‘융합’을 시도했다고 하겠다. 남북의 선사
          상과 천태  화엄종 등의 차별은 ‘불성’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발생하며,
          그 근저의 가장 커다란 차별은 바로 ‘유정유성’과 ‘무정유성’의 분기이기 때

          문이다.

           더욱이  혜충과  동일한  시기에  활동한  천태종의  형계담연荊溪湛然
          (711∼782)도 『금강비金剛錍』를 찬술하여 역시 ‘무정유성’을 적극적으로 논증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래 천태학에 있어서도 선종과 마찬가지로 ‘무정

          유성’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기 때문에 담연이 ‘무정유성’을



          56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