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59

제창한 것도 역시 시대적 상황에 따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의 법
             을 사사한 양숙梁肅(753∼793)은 바로 ‘고문운동’을 제창하였으며, 나아가
             천태학을 통한 ‘유불융합’을 제창하였다.

               혜충이 『단경』의 입장에서 북종과 천태, 화엄을 융합하고자 했음은 바로

             위의 인용문에서 『화엄경』을 인용하고 있다는 점으로부터도 추정할 수 있
             다. 북종과 남종의 가장 극명한 차별은 바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일
             심이문一心二門’의 입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신수神秀의 북종선은

             철저하게 『기신론』의 ‘심진여心眞如’와 ‘심생멸心生滅’의 이문二門을 원용하

             여 ‘염불기念不起’를 통한 ‘이념離念’을 강조하고 있는데, 『단경』에서는 이를
             철저하게 배척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기신론』은 바로 화엄종의 논리와 입장을 밝힌 논서이다.

             『단경』으로부터 출발한 조사선은 ‘불성’의 이해에 있어서 화엄의 ‘성기性起’

             를 배척하고 있고, 나아가 천태의 ‘성구性具’와도 차별이 있지만, 동산법문
             을 개창한 도신道信선사는 바로 천태학으로부터 선사상을 도출하였기 때
             문에 비교적 ‘성구’의 입장이 농후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화엄경』을 인

             용하는 것 자체가 이미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혜능의 제자인 혜충국사로부터 ‘무정불성’과 ‘무정설법’이 제
             창되면서 점차 남종선에 ‘무정불성’이 승인되기 시작하는데, 거기에는 이

             른바 ‘회창법란會昌法亂’이라는 전체적인 중국불교의 흐름을 바꾸는 중대한

             사건이 개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이어서 ‘회창법란’의 발생과 조사선의
             불성론이 어떻게 변용하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