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93

데, 당시 왕실 원찰의 책임자이고 건성원의 주지로 있던 통진대사通眞大師
             양경讓景(879~?, 도당 유학: ?~928) 화상이 75세의 나이로 스승의 비 건립을
             주도하여 문도들과 함께 낭공대사의 탑비를 태자사에 세웠다.

               양경화상은 김씨로 육두품 출신으로 벼슬을 하다가 출가를 하여 태자산

             사에 주석하고 있던 행적화상에게로 가서 제자가 되었다. 그가 행적화상
             을 찾아간 시기는 행적화상이 왕경을 떠난 898년 이후 왕경으로 다시 돌
             아와 국사가 된 907년 사이일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 행적화상은 태자산

             사에 주석한 것으로 보이며, 당시의 태자산사는 조그만 거처라서 낭공대

             사의 비에는 기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고려 광종 때에 오면, 승계제도와 승과제도를 시행하면서 화엄종을 중
             심에 놓고 불교계를 중앙집권적인 왕권의 강력한 통제 하에 두는 방향으

             로 나가는데, 이 당시 선문들

             은 중심 사찰을 중심으로 결
             속을 다져나가는 모습을 보
             이기도 했다. 굴산문은 태자

             사, 동리산문은 옥룡사, 희양

             산문은  희양원,  봉립산문은
             고달원,  사자산문은  도봉원
             을 중심으로 신라와 고려의

             고승들의  탑비와  부도탑을

             세우고 새로이 결집을 도모
             하였다.
               고려에서는 굴산문의 제자

             들이 전국 사찰에 주석하고               사진 1. 통진대사비 잔편 탑본.



                                                                          91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