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 고경 - 2022년 8월호 Vol. 112
P. 150

진다. 특히 인도불교가 중국에 도입되어 중국불교로 완성되기까지의 변화
          과정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시기인 한대부터 위진남북조 시대를 검토하고
          이를 역사 실증적으로 증명해 낸 명저라고 할 수 있다.




            『사십이장경』의 후대 개찬설 제시


                                             탕용동은 한명제의 영평구법설

                                           을 전하고 있는 『사십이장경』이 후

                                           대에  개찬되었다는  새로운  설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당시 저명한
                                           계몽사상가인 양계초의 학설과 대

                                           응되는 것으로, 탕용동의 실증주
          사진 1.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의적 역사관이 잘 나타난 예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양계초는 『장방록』의 기록에 근거하여 『사십이장경』이 산스크리트

          원본이 있어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중국인이 『효경』, 『도덕경』 등에 근거하

          여 편찬한 일종의 위서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반해 탕용동은 『장방록』 안
          에 “외국의 경전을 초록한 것”이라는 구절이 있으므로 중국의 편찬서는 아
          니라고 판단하였다. 오늘날 존재하는 팔리어 불경을 보아도 『효경』 같은 문

          체가 적지 않다는 점도 한 근거가 된다고 보았다.

           둘째, 양계초가 『사십이장경』을 위서僞書라고 본 이유는 번역 문체답지
          않게 그 문장이 우아하고 아름답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실제로 번역에는
          번역 문체가 있기 마련이고, 번역자는 정확한 번역을 위해서 문체를 희생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탕용동은 『사십이장경』에 한나라 번역



          148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