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고경 - 2022년 8월호 Vol. 112
P. 85
을 다판으로 연출한 미의
식이 돋보입니다. 오늘의
4)
팽주烹主 는 한승세 원장
님 부인입니다. 마침 철
관음을 갖고 오셨기에 우
리를 위해 흔쾌히 차를 우
사진 6. 보화루의 찻자리.
렸습니다.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전을 바라보며 철관음을 마신다니 호사로군요(사진6). 팽주의 미
소 띤 얼굴과 단정한 자세, 정중한 손놀림이 찻자리를 따뜻하게 합니다.
팽주가 뽐내지 않고 쓸데없는 과장을 하지 않았으니 그것은 하나의 풍격
입니다. 보화루 탁 트인 누각에 앉아 차를 마실 수 있었다는 것은 뜻밖의
행운이었습니다.
내려오는 길은 올라가는 길과 같은 길이지만 운치는 전혀 다릅니다(사진
7). 올라갈 때 보지 못했던 것이 내려올 때는 보이기도 합니다. 걷는 것이
때로는 종교적인 행위가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물론 우리 자신을 위해
서 걷지만 다른 사람을 위하여 걷기도 합니다. 왜 우리는 걸을 때 걷기만 하
지 못하고 잡념이 많은 걸까요. 흥선유관(755~817)은 이렇게 말해 줍니다.
도道는 눈앞에 있지만 나[我]가 있으면 못 본다
언젠가 한 승려가 흥선유관에게 가르침을 청했다.
“대화상, 도는 어디에 있습니까?”
4) 찻자리에서 차를 우려서 내놓는 사람.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