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고경 - 2022년 9월호 Vol. 113
P. 144

고 원효와 의상, 원측, 의천 등 신
                                           라와  고려의  학승과  불교사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여 해방 후 초

                                           창기 한국불교사상 연구의 토대를

                                           구축했다.
                                             그는  원효학  연구에서  중요한
          사진 5.  고려대장경 영인본. 1974년 동양출판사에   성과를 도출했는데, 불교의 중도
              서 간행되었다.
                                           론을 화和와 쟁諍과 연동해 총화사

          상, 통화사상으로 이해했고, 이를 다시 원효 화쟁의 해석에 활용했다. 나
          아가 총화론과 화쟁론을 근거로 해서 한국불교를 ‘대·소승을 초월한 통불
          교’로 바라보려 했다. 통불교론은 1930년에 최남선이 제기한 이래 한국불

          교의 특성을 논할 때 주로 활용되는 개념으로 조명기는 물론 김동화, 이기

          영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조명기는 한국불교사를 시기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삼국시대는 불교 전
          래기, 통일신라는 연구기, 고려시대는 보급기, 조선시대는 은둔기’로 보았

          다. 그의 주저인 『신라불교의 이념과 역사』와 『고려 대각국사와 천태사상』

          은 이 가운데 연구기와 보급기의 핵심 인물과 사상에 주목한 것이다.
           『신라불교의 이념과 역사』(1962)에서는 인도, 중국, 일본의 불교를 붓다의
          교화와 대승으로의 발전, 교리의 조직적 체계화와 일승으로의 진전, 중국과

          한국불교의 보급과 보존 및 실천을 각각의 장점으로 꼽았다. 한편 한국불교

          는 처음부터 일승으로 출발하여 일대승一大乘의 이론으로 발전했고, 대·소
          승을 초월한 통불교(회통·화쟁)의 특징을 가진다고 보았다. 특히 이론과 실천
          을 융합한 원효사상에서 한국불교의 특성을 찾을 수 있다고 파악했다.

           원효 외에도 의상, 원측, 태현, 경흥의 사상에 대해 서술했는데, 의상은



          142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