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고경 - 2022년 9월호 Vol. 113
P. 33

와 대상에 대한 집착이 없으므
             로 그 참음은 더 이상 참음이 아
             니게  된다.  그래서  중국의  인

             순印順 법사 같은 이는 무생법인

             의 인忍을 지혜로 해석하자고 제
             안한다.
               그러니까 대승보살의 실천 항
                                            사진 3. 인순법사.
             목인  인욕바라밀에는  ‘중생의

             극기로서의 참음’, ‘불생불멸의 진리에 대한 믿음과 수용으로서의 참음’, ‘
             불생불멸의 진리와 하나가 되는 지혜로서의 참음’이라는 여러 층의 참음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그것은 상호 간에 동질성과 차별성을 갖지만 결국 앞

             의 두 참음은 진짜 참음인 무생법인無生法忍으로 완성되어야 할 과정 중의

             한 지점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진정한 참음은 어떻게 실천하고 어떻게 성
             취하는가? 그저 억누르고 참다 보면 저절로 참아지고, 또 그것이 저절로
             체화되는가? 그렇지 않다. 억누르는 방식의 참음은 그 반발력을 강화하여

             오히려 더 큰 희노애락의 발산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참음이

             생멸 없는 진여불성과 만나는 일을 지향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진여
             불성이 무생무멸이므로 그것과 만나는 일 또한 무생무멸의 실천, 그러니
             까 무심의 실천 외에 다른 길이 없는 것이다.




                무생법인의 바른 의미


               그래서 성철스님은 “망념이 멸진하면 이것이 무생이다.”는 말로 무생법

             인의 전체 설법을 끌고 나간다. 여기에도 구경무심을 강조하는 성철선의



                                                                          31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