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고경 - 2022년 9월호 Vol. 113
P. 57
다시 말하여 ‘즉심즉불’이라는 용어도 ‘심’을 ‘인심’으로 보는 경우와 ‘본체
심’으로 보는 경우는 전혀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까닭에
후기 조사선에서는 ‘심’보다는 이른바 ‘기機’의 용어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임제의현臨濟義玄은 바로 ‘대기대용大機大用’을 중심으
6)
로 선리禪理를 운용하고 있으며, 다른 선사들도 모두 ‘대기’에 따른 ‘대용’
을 핵심적인 선사상으로 삼고 있다(사진 3).
도道의 편재와 불성의 물성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른바 ‘도道’의 편재遍在를 강조하게 되는데, 이 역
시 우두선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근원적으로는 바로 『장자莊子』로부
터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장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도의 편재를 강조하고
있다.
동곽자東廓子가 장자에게 “이른바 ‘도道’는 어느 곳에 있습니까?”라
고 물었다. 장자는 “없는 곳이 없다.”라고 답하였다. 동곽자가 말
하기를, “분명하게 지적하여 주십시오.”라고 하자, 장자는 “땅강아
지나 개미에게 있다.”라고 하였다. 동곽자는 “어째서 그렇게 천한
데 있습니까?”라고 묻자 장자는 “잡초 속에 있다.”라고 대답하였
다. 동곽자가 묻기를, “어째서 점점 낮아집니까?”라고 하자 장자는
“기와나 벽돌에 있다.”라고 하였다. “어째서 더욱 낮아집니까?”라
6) [唐]慧然集, 『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 「序」(大正藏47, 495a), “臨濟祖師以正法眼明涅槃心, 興大智
大慈, 運大機大用.”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