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고경 - 2022년 10월호 Vol. 114
P. 90

것이 아니라, 앞뒷면이 평평한 얇은
                                         석판에 새긴 것들이다. 석불을 만든
                                         돌은 이 산에서 채취한 것인데, 채석

                                         장의 바위들을  얇은  석판의 형태로

                                         켜 낼 수 있어서 그렇게 된 것으로 보
                                         인다.  산등성이에는  거대한  불상을
                                         만들려고 새겨놓은 다음 이를 켜 낼

                                         수 없어 그대로 남아 있는 이른바 ‘와

                                         불臥佛’이 있다. 이 거대한 불상을 새
                                         긴 것은 와불이 아니고 거대한 불상
                                         을 새기다가 암벽에서 떼어내지 못하

          사진 2. 산등성이의 석불.                여 그대로 둔 것이다(사진 6).

           손의 모양으로 보아 각각 비로자나불좌상과 석가여래불입상이다. 이 석
          불을 뜯어내어 운주사에 새워 놓았다면 아마도 운주사의 중심이 되는 석
          불이 되었을 것 같다. 그 모습이 땅에 누워 있기에 이를 두고 이 부처가 일

          어나는 날이면 천지가 개벽한다느니 하는 온갖 잡설이 생겨났다. 근처 산

          비탈에는 부처를 새기려고 바위를 잘라 뜯어낸 흔적도 분명하게 남아 있
          고, 바위를 뜯어내려고 구멍을 뚫어 놓은 자국도 남아 있다.
           운주사에  있는  다종다양한  모습의  불상과  석탑들의  양식으로  보아

          12~13세기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그 근거로는 고려시

          대의 불상에는 이곳의 불상들과 비슷한 지방화된 양식들이 많이 등장하고,
          탑의 양식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방형탑, 육각탑,  팔각탑, 모전계열 석
          탑 또는 원형탑들이 건립된 것을 든다. 이렇게 되면, 신라의 운주화상이니,

          거북이 바위를 날랐느니, 도선국사니 풍수니 천지개벽이니, 장길산이니



          88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