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46
당시 일본에서도 그랬지만 조선에
서 미학전공으로 취직하기란 어려
운 일이었지만 그것을 이미 각오하
고 전공을 택한 것이라 여겨진다.
졸업 후 다행히도 그가 미학연구실
의 조수가 되어서 나 또한 안심했
던 기억이 난다. 이후 3년간 함께
사진 2. 『신라·고려의 불상』 표지. 연구실 생활을 하면서 많은 추억이
남아 있는데, 그의 학문적 관심은
미학에서 구체적 미술사 연구로 옮
겨갔다. 미학연구실의 우에노 선생
과 다나카 선생은 그를 각별하게 아
꼈는데, 평소 매우 성실히 연구에
사진 3. 1929년 경성제대 연구실에 임하였다. 그는 「조선의 전탑에 대
서 고유섭과 함께(왼쪽부터 고
유섭, 다나카 도요조 교수, 나카기리 하여」(1935), 「불국사의 사리탑」
이사오, 우에노 나오테루 교수). 사
진 인천일보. (1943) 등의 많은 논문을 쓰면서 당
시까지 없던 문헌적· 예술사적 접
근을 통해 독자적 연구를 이어갔다. 만일 고유섭 씨가 오래 살았다
면 조선의 역대 서화가의 사적과 평전을 수록한 오세창의 『근역서
화징』 같은 ‘조선 화인전畵人傳 집성’이라 불릴 수 있는 명저가 몇
권 간행될 수 있었을 텐데 참으로 유감이다.”
나카기리는 한국에 있던 일본인 학자들과도 교류를 이어갔는데, 한국의
고전문헌을 연구하는 일본인 학자들의 모임인 서물동호회의 회원으로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