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41
다. 첫째, 욕여의족欲如意足은 바라고 추구하며 닦아야 할 법을 원과 같이 만
족하는 것이다. 둘째, 정진여의족精進如意足은 닦아야 할 법을 한마음[一心]
에 전념하여 중간에 잡념이 없어 원과 같이 만족하는 것이다. 셋째, 염여의
족念如意足은 닦아야 할 법을 기억하여 잃어버리지 않고 원과 같이 만족하
는 것이다. 넷째, 사유여의족思惟如意足은 닦아야 할 법을 마음으로 생각하
여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여 원과 같이 만족하는 것이다.(『삼장법수』, p.533ab)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長部)』 제18 「자나와사바 숫따(Janavasabha-
sutta)」(DN18)에 따르면, 범천 사낭꾸마라(Sanaṅkumāra)가 도리천忉利天의 신
들에게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을 천명하였고, 또 그 성취수단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고, 그것을 어떻게 받들어 행하고,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에 대해
서도 천명하였다고 일러준다. 그리고 그 네 가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존자들이여, 여기 비구는 ①열의를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②정진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
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③마음을 [주로 한] 삼
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④검증을 [주
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
다.(DN.Ⅱ.213; 각묵 옮김, 『디가 니까야』 제2권(초기불전연구원, 2006), p.365)
이어서 “과거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이 여러 가지로 성취수단을 체득한
것은 모두 이 네 가지 성취수단을 닦고 많이 수행했기 때문이다. 미래의 사
문들이나 바라문들이 여러 가지로 성취수단을 체득하는 것은 모두 이 네
가지 성취수단을 닦고 많이 수행했기 때문이다. 지금의 사문들이나 바라
문들이 여러 가지로 성취수단을 체득하는 것은 모두 이 네 가지 성취수단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