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42

을 닦고 수행했기 때문이다.”(DN.Ⅱ.213; 각묵 옮김, 위의 책, p.365)고 했다.
           이상과 같이 각묵스님은 사여의족을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으로 번
          역했다. 그는 그 이유를 각주에서 밝히고 있다. 즉 “완성한다는 뜻에서, 성

          취한다는 뜻에서, 이것을 통해 중생들이 성공하고, 성장하고, 증진하기 때

          문에 성취(신통, iddhi)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신통지(초월지, 최상의 지혜,
          abhiññā)의 마음과 관련된 열의 [등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
          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그런 삼매와 의도적 행위의 토대(adhiṭṭhāna)라는 의

          미에서 수단(pāda, 기초)이라 한다. 여기서 수단[기초]이란 나머지 마음과 마

          음부수의 더미라는 뜻이다.”(DA.Ⅱ.641; 『청정도론』 Ⅻ. 52; 각묵 옮김, 『상윳따 니
          까야』 제2권, p.364, n.363에서 재인용)
           그리고 주석서에서는 “근접삼매는 수단[기초]이고 초선은 성취이다. 근

          접삼매를 가진 초선이 수단이고 제2선은 성취이다. 이처럼 이전의 단계는

          수단(pāda)이고 뒤의 단계는 성취(iddhi)이다. 이상과 같이 그 뜻을 알아야
          한다.”(DA.Ⅱ.641)



            삼매를 성취하는 수단



           한마디로 성취수단이란 삼매라는 성취를 얻는 수단을 말한다. 즉 열의,
          정진, 마음, 검증의 네 가지를 통해서 이러한 수단과 성취를 얻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삼매를 닦음으로써 신통지(최상의 지혜, 초월지)가 생기고 높

          은 천상에 태어난다. 그래서 범천은 이러한 삼매의 수단을 칭송하는 것이
          다.(각묵 옮김, 『상윳따 니까야』 제2권, p.364, n.363)
           위에서 인용한 니까야에 대응하는 한역은 『장아함경』 제5권 제4 「사니사

          경闍尼沙經」이다. 이 경에 “여래께서는 사신족四神足에 대하여 능숙하게 잘



          142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