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31

내용으로  한다면  그것은
             같음에 대한 집착이 되기
             쉽다. 분별에 상대되는 분

             별없음에  머무는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명
             확한 인식이 사라진 어두
             움 그 자체일 가능성이 높

             다.  이  어두움이  망상의

             일종임은 말할 것도 없다.
             교리적으로  이것을  공에
             치우친  관찰[空觀]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것은 같

             음과 다름의 통일체를 대
             하면서 같음의 측면에 치             사진 2. 성철스님과 향곡스님.
             중하여 관찰하는 일이므로 편견에 이를 수밖에 없다. 위의 예문에 보이는

             바, “시방세계 그대로가 큰 반야이며 청정한 세계라는 말로는 진리를 다

             표현할 수 없다.”고 한 향곡스님의 설법이 가리키는 바이기도 하다.
               그래서 스스로 도달한 무심의 경계에 자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공부
             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성철스님의 ‘거듭 죽는 죽음’에 대한 질문이 일어

             난 지점이고, 향곡스님의 새로운 화두참구가 일어난 시점이다. 예문에서

             향곡스님이 말하는 차별삼매는 죽음에서 되살아난 이후의 풍경이다. 그러
             기 위해서는 향곡스님이 차별삼매의 예로 든 ‘애석하다(可惜許), 관문(關),
             하늘이시여(蒼天)’와 같이 새롭게 나아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원래 이것은

             탄식의 어투를 담은 감탄사로서 진여와의 계합을 위해 무심에서 한 걸음



                                                                          31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