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21

하면서도 천태의 견성론을 화엄의 그것보다 높이 평가한다.


                  “태교의 초주견성初住見性이 불조정전은 아니나 태교의 삼혹三惑인

                  견사見思, 진사塵沙, 무명無明 중에서 견사와 진사의 양혹兩惑을 단

                  제斷除하고 일품무명一品無明을 분파分破한 분증무생分證無生을 내용
                  으로 하였으니, 견사도 미탈未脫한 초신初信의 해오解悟로써 견성이
                  라고 주장함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여기에서 태교는 천태이고 ‘견사도 미
             탈한 초신의 해오를 견성이라고 주장’하
             는 쪽은 화엄이다. 어쨌든 천태와 화엄이

             나 모두 초주에 견성한 뒤 본격적인 깨달

             음의 길을 걷는다는 약도를 제시하고 있
             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런데 해오이
             거나 증오이거나 간에 그것이 견성이라

             면 그 본질적 내용은 궁극의 깨달음과 동

             일한 것이라야 한다. 그래서 “초발심의
             시기에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한다.”는 규
             정을 공유하는 것이다.                           사진 2. 작은 석가로 추앙받는 천태대사.




                성철스님의 전파원증론


               선문의 견성이 부처님이 성취한 대원각과 동일하다고 보는 성철스님의

             입장에서 이것은 수용하기 어려운 관점이다. 그래서 천태스님이나 이통현



                                                                          19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