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53

『   』 제117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1 |  학문은 그 시대와의 소통에서 탄

                                             생한다. 철학과 종교도 그 시대상과
                                             동떨어질 수 없다. 이러한 학문은 시

                                             대의 변화에 따라서 시대의 변화에
              불교심리학의                         대응해 간다. 이러한 노력을 하지 못

              개념과 갈래                         하는 학문과 종교는 그 시대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불교가  여전히  생명력을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가지고 있는 것은 현대인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붓다는 보편적 진리를 깨달은 동

                                             시에 시대의 문제에 대해서도 구체
                                             적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불교의
                                             보편성으로부터 현대 사회에서 요구

                                             하는 구체적인 해답을 모색하는 것

                                             은 우리의 몫일 것이다. 현대인과 현
                                             대 사회가 제시하는 문제에 대해서
                                             필자는 불교심리학이라는 학문을 통

                                             해서 해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내가 가장 궁금했던 것은 불교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할 때 불교상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담이라는 용어대신 명상상담, 명상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   불교의 언
               어관  ,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심리치료와  같은  용어를  사용할까



                                                                          51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