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고경 - 2023년 2월호 Vol. 118
P. 75
고 추광수상과 혜조상은
불상에 표현된 연꽃의 상
징을 통하여 관미륵보살
과 관도솔천하는 단계라
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
다면 구 국보 83호 금동
반가상(사진 1)의 보관은
무엇을 표현한 것일까?
그의 보관은 활짝 핀 연꽃
세 잎으로 표현되었으며,
곧 추광수상의 연꽃처럼
사진 7. 구 국보 78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그의 보관과 머
만개하여 꽃잎이 하향하 리끈은 사유관을 상징한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게 되는 사유관의 상징이
다. 그는 도솔천의 갖가지 기쁨을 사유관하고 있다. 유감스럽게 83호 반가
상은 광배를 걸었던 걸쇠만 뒷머리에 남아 있고 광배는 소실되어 머리끈
표현의 유무는 알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 국보 78호 반가상(사진 7)의 머리끈을 살펴보자. 그의 보
관은 도솔천의 상세한 모습을 사유관하고 있다. 보관의 머리끈은 그의 이
마를 두르고 원형장식으로 고정되어 얼굴 윤곽을 따라 내려와 좌우 어깨
위에 놓여 있다. 그의 머리끈은 추광수상과 혜조상의 번개치는 ‘전광삼매’
를 지나서 평온해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의 미소는 관도솔천의 고요한 기
쁨을 즐기고 있는 미소이다.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