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고경 - 2023년 4월호 Vol. 120
P. 60

『   』 제120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4 |  인식주체에 의해서 인식론이 정립

                                         된다면 진리론은 인간의 진리로 나
                                         아간다. 절대적인 진리가 아닌 인간

                                         의 진리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인
          인간에 의한                         식주체 각각의 진리가 있을 수 있지

          불교진리론                          만 여기서는 인간의 진리를 논하고
                                         자 한다. 존재 자체, 인식주체, 인간

                                         으로 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존재론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과 연기론이 짝을 이루고 인식론과
                                         세계론이  짝을  이루듯이  진리론은
                                         인간론과 짝을 이룬다. 불교에서 진

                                         리는 인간의 진리이기 때문이다. 그

                                         인간이 성인이든 범부이든 관계없이
                                         인간의 진리이다.



                                           불교진리론



                                           불교의  진리론을  대표하는  사성
                                         제四聖諦는 보통 ‘네 가지 고귀한 진

                                         리(four noble truths)’ 또는 ‘네 가지 성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자의 진리(four noble's truth)’로 번역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된다. 성聖 즉 아리야ariya를 ‘고귀한’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또는 ‘성자의’로 번역한 것이다. ‘고귀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불교의 언
           어관』,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한’으로 번역할 경우 사성제는 붓다



          60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