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고경 - 2023년 4월호 Vol. 120
P. 57

“대장부가 다시 무엇을 의심하는가? 눈앞에서 작용하는 이가 다시
                  또 누구인가? 잡히는 대로 쓰며 명자名字에 집착하지 않음을 현
                  지玄旨라고 한다. 이렇게 볼 수 있다면 싫어할 것이 없는 법이다.”               9)




               이러한  문구로부터  대장부의
             기개를 상당히 중요시하고 있으
             며, 또한 믿음과 연계하여 논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후대에 임

             제종을  평하는  ‘임장군臨將軍’의
             호칭은 바로 이러한 대장부의 기
                                             사진 3. 조박초趙樸初가 쓴 임제사 현판.
             개로부터 나왔다고 하겠다. 이처
             럼 『임제어록』에서는 여러 곳에서 ‘대장부’의 호칭을 많이 사용하여 강조하

             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무수무증無修無證



               조사선의 출발을 알리는 『육조단경』이나 마조와 백장, 그리고 의현의 스
             승인 황벽에 이르기까지 모두 무수무증의 수증론修證論을 제창하고 있음은
             앞에서 언급하였다. 따라서 이를 계승한 의현도 명확하게 무수무증을 제

             창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馳求, 捨頭覓頭, 自不能歇.”
             9)  앞의 책(大正藏47, 500c), “大丈夫漢, 更疑箇什麽? 目前用處, 更是阿誰? 把得便用, 莫著名字, 號爲玄旨.
               與麽見得, 勿嫌底法.”


                                                                          57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