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6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166

한결같이 이어져 온 본체론을 준수하기 위하여 진여眞如라고 하는
              것을 현상의 실체로 삼았다. 유종의 종자계와 현행계는 생멸하는
              것과 변화하는 것의 이중세계이다. 지금 움직이지 않고 불변하는

              진여와 이 이중세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물어보면 설명할 방

              법이 없다.”


                               유식불교에서 진여와 종자라는 이중 본체를 가

                             지게 된 것은 진여의 불변성과 종자의 변화가능성

                             을 동시에 받아들인다는 의미이다. 본체의 ‘불변
                             성’과 ‘변화가능성’은 서로 모순되므로 이 두 본체는
                             동시에 받아들일 수 없다. 불교의 본체인 진여에 대

                             한 이해에서 볼 때, 진여는 무위법이므로 결코 끊임

                             없이 생성·변화하거나 유행하는 것이 될 수 없다.
        사진 5.  웅십력의  『신유식
             론』  한글판(소명출판,   그러면서도 유식불교는 이러한 성격의 진여가 아라
             2007).
                             야식의 ‘실성實性’과 ‘체성體性’이라고 본다. 따라서

          무위법인 진여와 생멸변화하는 현상계의 모습은 서로 뛰어넘을 수 없는 다

          른 영역의 것이 되므로, 진여와 현상계의 관계를 설명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것이 이중 본체가 야기하는 문제이다. 웅십력은 “종자는 종자이고 진여
          는 진여이다. 이 이중 본체는 서로 관계가 없고, 진리에 맞지 않을 뿐 아니

          라 논리적으로도 확실히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결론지었다.

           웅십력은 결국 이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불교의 유학화라는 제3의 길
          을 선택하게 된다. 유식불교에 대한 비판은 실제로는 동일한 성향의 서양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였으므로 그에게는 민족적 자존심을 건 작

          업이었다.



          164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