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161

을 동기로 해서 구성된 것이며, 공사상의
             허무주의 경향을 극복하려는 운동이었다.
             그런 면에서 유식불교와 웅십력 사상은

             완전히 배치되는 것만은 아니다.

               유식불교란 무엇인가? 세친은 “대승에
             서는 ‘세 현상 세계[三界]가 오직 식識일 뿐
             이다.’라고 주장한다. 유식의 ‘오직[唯]’이

             라는 말은 대상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한
                                                    사진 1. 웅십력熊十力(1885~1968).
             것이다. 이 모든 것은 다만 표상일 뿐이
             다. 존재하지 않는 대상이 존재하는 것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눈병이 난 사람에게 실제로는 없는 머

             리카락이나 달 등이 보이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이렇게 투영된 표상

             만 있고 그것에 대응하는 외부 사물의 실재를 부정하는 ‘유식무경唯識無境’
             이라는 명제는 유식사상의 근본 입장을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선정 체험에서 떠오르는 대상이 마음의 투영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일

             상생활에서 우리의 인식 내용도 외부 대상의 존재와 무관한 마음의 투영

             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 것이다. 평상시의 인식도 선정을 닦는 때의 인
             식과 본질에 있어서는 다름이 없기 때문이다. 유식불교는 결국 “사람의 한
             평생이 한바탕 꿈이다.”라는 생각을 철학적으로 설명한 것이라고 보아도

             좋다. 사람이 일생 동안 살면서 겪는 감각 경험, 외부 대상세계와 그것을

             경험하는 나라고 하는 자아, 이 모든 것이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재한다
             고 여겨지는 스크린 상의 영상과 같은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유식불교의 목적은 이렇게 외부 대상과 주관적인 내가 실재한다고 보는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을 깨뜨려서 아법



                                                                         159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