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163
적인 마음인 식識의 전변으로 존재하게 되지만, 웅십력은 객관세계가 주관
적인 마음과 떨어져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하는 데서 그치고 있
기 때문이다. 그것은 웅십력이 ‘유식唯識’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해석하는
데서도 드러난다.
“유식의 주장은 외부 객관세계에 집착하는 허망한 견해를 논파하
기 위한 것이지, 결코 외부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객관세계가 마음과 떨어져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
문에 ‘유식’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유唯’ 자는 특수하다는 뜻이지
유독 그것뿐이라는 뜻이 아니다. 마음은 객관 대상을 이해하고 구
별할 수 있어 역용力用이 특수하므로 마음에 대해 ‘특수하다[唯]’고
한 것이다. 유심唯心이 어찌 객관 대상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겠
는가?”
유식은 ‘식만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식의 작용이 특수하다’는 의
미가 된다. 웅십력 철학에서는 주관적인 마음과 현
상세계가 모두 본체의 현현으로 나타난 것이고, 따
라서 주관적인 마음과 현상세계는 서로 다른 것이 아
니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心物不二]. 이런 체계
에서는 식만이 존재한다고 하여 주관적인 마음만 인
정하는 유심唯心이란 있을 수 없다.
결국 유식불교의 ‘유식무경唯識無境’은 웅십력에게
주관적인 마음과 객관적 대상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경불리식境不離識’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 외의 부분 사진 3. 무착의 『성유식론成唯識論』.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