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고경 - 2023년 6월호 Vol. 122
P. 65

이렇게 보면 팔정도는 세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견해
             를 중심으로 견해가 발현되는 사유·어·업·명이 있고, 견해를 계발하는
             정진·념·정의 과정이 있다. 견해를 가운데 두고, 견해를 계발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정진·념·정을 견해 앞에 두고, 견해의 결과는 사유·어·

             업·명으로 표현된다. 정진·념·정 → 견 → 사유·어·업·명의 관계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견해를 중심으로 견해 이전은 견해를 발현시키기
             위한 방법이고, 견해 이후는 견해의 발현으로 본 것이다. 삼학의 용어로 보

             면 정定·혜慧·계戒의 순서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사유·어·업·명은 견해가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계는 견해의 발현이라는 것이다. 계를 지키는 것은 단순한 토
             대가 아니라 견해의 표현이 되는 것이다. 결국 계에서 견해가 제대로 되었

             는지가 드러난다. 그리고 가장 나중에 나오는 명命, 즉 사회적 관계, 인간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견해가 드러나는 가장 광범위한 지점이라
             고 할 수 있다. 사유방식, 언어습관, 행동양식에서도 견해가 드러나지만
             그러한 견해의 궁극적인 발현은 명命에서 드러난다. 타인을 유익하게 하

             고, 타인에게 친절한 것이 견해의 궁극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심리치료적 함의



               이러한 결론은 또한 심리치료적 함축을 가진다. 사성제가 코끼리 발자

             국처럼 모든 진리를 포함하듯이, 삼십칠조도품은 팔정도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나머지 조도품에는 없지만 팔정도에만 있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계에 해당하는 방법론이 팔정도에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계는 팔정도를

             가장 포괄적인 방법론으로 만드는 요소가 된다.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