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고경 - 2023년 9월호 Vol. 125
P. 114
사진 11. 박규수 글씨, <운부난야> 현판. 사진 12. 박규수 글씨, <우의당> 현판.
곳에서 지냈다.
당시 운부암에는 나중에 종
정宗正이 되는 동산화상이 조실
로 주석하고 있었다. 동산화상
은 주시경周時經 선생에게서 신
학문을 배우고, 경성총독부 의
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는데,
용성龍城(1864~1940) 화상을 만
사진 13. 신봉승 저, 「이동인의 나라」(출판도서출판 선, 2010).
나 범어사로 출가하였다. 오경
석 선생의 아들인 오세창吳世昌(1864~1953) 선생이 동산화상의 고모부가 된
다. 청사晴斯 안광석安光碩(1917~2004) 선생도 동산화상의 문하로 출가를 하
였고, 오세창 선생 문하에서 서법을 공부하였다.
성철화상은 운부암에서 수행할 때 평생의 도반이 되는 향곡香谷(1912~
1978) 선사를 만났다. 동갑인 두 화상은 한국불교를 혁신하고 중흥하는 길
에서도 거침없이 동행하게 된다. 그야말로 평생 둘도 없는 도반이었다. 천
하의 향곡선사가 길러낸 인물이 종정을 지낸 진제眞際(1934~) 선사이고, 전
강田岡(1898~1975) 선사가 길러낸 불세출의 선장이 송담松潭(1927~) 선사이
다. 그래서 사람들은 천하의 도인을 불러 ‘북송담 남진제’라고 부르기도 한
다. 그 이전에 사람들은 ‘북전강 남향곡’이라고 먼저 불렀다.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