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고경 - 2023년 11월호 Vol. 127
P. 45

의 화두 수행을 지도하고 점검하는 스승
             의 역할이 중요한데 그런 지도 행위의 한
             형태가  ‘상당법어’이기  때문이다.  둘째,

             조계종의 정체성 규정에 ‘상당법어’ 시행

             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송광사가
             ‘조계총림’으로 승격되던 1969년 봄부터,
             구산수련九山秀蓮(1909~1983)  선사에게도

             입적하던 1983년까지 약 15년에 걸친 상

             당법어집  『구산선사九山禪師  상당법어上
             堂法語  구산선문九山禪門』이  있음을  밝혀               사진 2.  원택 엮음, 『山이 물 위로 간다』
                                                         (불광출판사, 1982).
             둔다. 구산선사가 성철선사보다 세납은

             9세 위이고, 상당법어는 성철선사가 2년 먼저 실시했다.



                2.
               선불교 전통의 상당법어의 형식을 먼저 말해 보려고 한다. 전래의 일반

             적 형식을 먼저 말해 보기로 한다. 선사가 출가 대중들에게 인정을 받아 방

             장으로 초대되면 대중을 향한 요즈음의 공개강좌에 해당하는 ‘보설普說’을
             한다. 이때 자신은 누구의 법을 이어받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어떤 깨
             침을 얻었는지, 소위 염향사법拈香嗣法과 득법기연得法機緣을 밝히게 되어

             있다. 현재 불교계에서도 많이 읽히는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에도, 또

             『태고록太古錄』에도 ‘보설’이 실려 있다.
               그러면 성철선사의 ‘사법’과 ‘득법’은 어떠한가? 성철선사는 누구의 법
             을 이었는가? 또 어떤 계기(다른 수행자와의 대화, 또는 화두 참구, 또는 상황)로

             선적 체험을 했는가? 물론 ‘득법’에 관한 이야기는 『선요』처럼 일목요연하



                                                                          43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