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 고경 - 2023년 12월호 Vol. 128
P. 151

사진 5.  『지눌 연구』(2004, 서울대학교출  사진 6.  『동양의 지혜와 선』(1990년, 세
                           판부).                    계사).


             각각 역사, 제도(법맥), 사상 면의 종조로 보았다.

               다음으로 한국불교의 전통은 고려 시대에 기본 틀이 확립된 이후 조선

             을 거쳐 현재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져 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역사
             적·사상적으로 정혜쌍수, 돈오점수, 간화선법으로 요약되는 지눌의 수행
             체계와 선교 통합의 이론이 조선으로 계승됨으로써 현재 한국불교의 저변

             을 이루었다고 보았다. 지눌이 깨달음의 본질을 이론적으로 파악한 후 실

             천적 수행에 들어가 정진하는 돈오점수의 방법론을 정립한 것이 특히 중
             요하며, 이것이 한국 선의 수행관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음을 강조했다.
               『지눌 연구: 보조선과 한국불교』(2004)는 결국 그의 유작이 되고 말았지

             만, 지눌과 한국 선에 대한 저자의 이해를 종합한 책이다. 여기서는 목우

             자牧牛子라는 자호에서 알 수 있듯이, 지눌은 깨달음의 길로 수행자를 이끈
             종교적 성인聖人이고, 선과 화엄을 조화시키고 화두 참구의 방안을 제시하
             며 이론적으로 선 수행의 기초를 닦고 체계화한 철학자라고 평가했다. 나

             아가 지눌은 한국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차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



                                                                         149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