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고경 - 2023년 12월호 Vol. 128
P. 60
『 』 제128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11 | 불교마음학이 마음의 본래적 특징
에 중점을 두고서 전개된다면, 불교
심소학은 마음의 다양한 기능에 중
점을 두고 있다. 마음이 다양한 기능
불교심소학 을 하는 것은 심소 때문이다. 붓다는
심心과 심소心所를 구분하는 것은 바
다의 물이 어느 강에서 흘러들어왔는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지를 구분하는 것만큼 어렵다고 한
다. 이 때문에 불교마음학과 불교심
소학을 구분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
구분으로 인해서 서양심리학에서는
다루지 못하고 있는 마음 자체에 대한
탐구영역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마음의 기능에 대한 탐구
로써 불교심소학을 다루고자 한다.
불교심소학의 관점
불교심소학(Buddhist cetasikalogy)
은 마음의 다양한 기능을 다룬다. 심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소心所(cetasika) 또는 마음부수는 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과 함께 생멸하면서 다양한 마음의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작용을 만들어 낸다. 마음 자체는 아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불교의 언
어관』,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는 기능이라는 하나의 기능을 하지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