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고경 - 2023년 12월호 Vol. 128
P. 65

자각하지 않고, ⑧ 동기원리들은 응용될 수 있고, ⑨ 좋은 이론은 더 실용
             적이다.
               불교에서 동기는 의도(cetanā, 思)를 말한다. 신구의身口意 삼업은 의도,

             말, 몸으로 하는 행동을 말한다. 오계五戒의 경우도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

             지에 대한 지침을 준다. 십선업十善業, 십불선업十不善業도 동기와 행동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팔정도 가운데 계학戒學에 해당하는 정어,
             정업, 정명은 행위의 영역과 관련이 있다면, 정정진正精進은 모든 행동과

             동기에 대한 지침을 제시한다. 이미 일어난 선은 더욱 증장시키고, 이미 일

             어난 악은 손감시키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은 일어나도록 하고, 아직 일
             어나지 않은 악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정정진은 모든 유익한 또
             는 해로운 심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 궁극적 목표

             를 이루는 데 있어서 유익한 의도와 행동, 유해한 의도와 행동을 분류하고,

             이를 증장시키고, 손감시키는 것과 관련된 주제가 불교의 동기심리학의 연
             구주제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4) 성격

               성격은  타고난  마음의  타입  또는  패턴을  말한다.  성격의  원어인
             ‘personality’는 ‘인간됨’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을 ‘그 사람’이라고 할 때 가
             장 특징적인 특성과 특질을 말한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성격이라는 용어

             대신 ‘인격’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성격을 ‘개인의 삶에 방향과

             패턴을 부여하는 인지, 정서, 행동의 복합적 조직’으로 정의한다. 성격은
             내적 속성이고, 통합성, 고유성, 일관성, 역동성을 지닌다고 한다. 성격은
             ① 내적 속성이고, ② 정신적 신체적 체계들 즉 인지, 정서, 행동의 통합과

             정이고, ③ 개인은 고유한 성격을 갖고 있고, ④ 성격에는 일관성이 있고,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