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고경 - 2024년 1월호 Vol. 129
P. 54

『   』 제129호 | 현대사회와 불교윤리 1 |   일반 대학원 수업 때 “불교에 계율

                                         은 있으나 윤리가 없다.”라고 말했다
                                         가 전통 강원 출신 스님들의 집단반발

                                         을 산 적이 있다. 특히 비구 스님들의
          현대사회와                          거부감이 컸던 것으로 기억한다. 10

          불교윤리의 만남                       여 년 전의 일이다. 그들은 계율이 곧
                                         윤리와 도덕이라고 생각하는 듯했고,

                                         더욱이 불교가 윤리적인 가르침이 아
          허남결
                                         니라고 오해를 했던 것 같다.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시대가 불교윤리를 요청하다




                                           계율과 달리 윤리는 굳이 비유하
                                         자면 계율의 근거를 다시 논의 대상
                                         으로 삼을 수 있다고 보는, 서양 철

                                         학적 입장임을 이해시키려고 하다가

                                         벌어진 일이었다. 지금은 그때와 달
                                         리 수업 분위기도 많이 바뀌었다. 동
                                         성애와 같은 다소 불편한 주제의 토

           허남결   동국대 국민윤리학과 졸업(문학        론 수업에도 학인 스님들이 적극적
           박사). 영국 더럼 대학교 철학과 방문학자
           및 동국대 문과대 윤리문화학과 교수를          으로 참여해서 열띤 갑론을박을 주
           거쳐 현재 동국대 불교학부 교수로 있다.        고받는다. 이제 불교도 세상의 일과
           역저서로는 『불교윤리학 입문』, 『자비결과
           주의』, 『불교의 시각에서 본 AI와 로봇 윤     거리를 둘 수 없는 시대가 되었음을
           리』 등이 있고, 공리주의와 불교윤리의 접
           점을 모색하는 다수의 논문이 있다.           실감하고 있다.



          52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