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 고경 - 2024년 4월호 Vol. 132
P. 120

기 시작하여 593년까지 유행하였다. 이 경전은 상하 두 권으로 구성되어,
          상권은 점찰하는 방법을 기록하였고 하권은 대승을 구하는 방편으로 여래
          장사상을 중심교리로 삼고 있다. 원광은 『여래장경사기』 3권과 『대방등여

          래장경소』 1권을 저술하였다. 여래장사상은 중생이 본래 여래가 될 수 있

          는 불성佛性을 갖추고 있다는 대승사상이다.
           따라서 원광법사는 중국의 점찰법회를 인지하고 귀국하여 신라에서 실
          천하였고, 가난한 중생을 구제하고 보살도를 중시하는 삼계교 사상을 접

          목시켰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그는 점찰법회에서 과거의 선악업과 길

          흉을 점치고 중생의 죄업을 소멸하고자 하였다. 점찰법회를 베푸는 데 필
          요한 비용은 점찰보를 설치하여 마련하였다. 이는 진평왕 때 활동한 비구
          니 지혜智惠가 선도산仙桃山 안흥사 점찰법회에서 삼계교의 53불과 산신의

          예배를 강조하며 불전을 수리한 행적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점찰법회와 삼계교는 말법시대의 제3계 중생을 대상으로 삼은 실천종
          교였으며 대중들의 호응도가 높았지만 중국에서 점찰법회는 593년, 삼계
          교는 600년에 금지되었다.

           하지만  통일신라 경덕왕 때 진표는 대구 동화사에서 미륵보살로부터 간

          자簡子를 받아 점철법회에서 사용하였다. 이는 신라의 점찰법회가 지장보
          살신앙뿐만 아니라 미륵신앙과 연관되며 수행자들이 계법을 실천하여 참
          회불교를 확립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법사상과 석경


           그렇다면, 남악혜사(514〜577) 이전의 말법사상은 어떻게 인지되었을까?

          혜사는 말법이 434년에 시작했으며, 북위 태무제(재위 423〜452) 시기라고



          120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