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121
「백성산사길상탑중납법
침기百城山寺吉祥塔中納法
賝記」·탑지塔誌에서 53
불명이 언급되었다. 「해
인사묘길상탑기」와 함께
복장된 탑지 4매 중 하나
이다. 당시 통일신라가
궁예(?〜918)와 견훤(?〜
사진 5. 금강산 유점사 능인보전의 53불상(국립중앙박물관).
936)과 대치한 전투에서
전란에서 사망한 승속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해인사 부근에 해인사묘길상탑
을 세우고 탑지 4매를 묘길상탑에 안치하였다.
고려시대 53불신앙은 금강산 장안사 정전과 선실禪室에 각각 53불이 봉
안되었다. 이에 관한 기록은 이곡李穀(1298〜1351)의 『가정집稼亭集』 「금강산
장안사 중흥비」에서 찾을 수 있다. 금강산의 53불신앙은 유점사 능인보전
에 봉안되었던 53불상(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에서 확인된다(사진 5). 다만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몇 분은 현재까지 존재 여부가 불확실하다.
조선시대 53불신앙은 창녕 관룡사에서 볼 수 있다. 관룡사는 신라시대
8대 사찰 중의 하나이지만 약사전은 조선 전기 건축물로 추정된다. 약사
사진 6. 관룡사 약사전 53불 부분.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