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고경 - 2024년 7월호 Vol. 135
P. 128

화상의 큰 원력으로 당우들
                                                이 새로 들어서고 사역이 정
                                                비되면서 지금과 같이 번창

                                                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지난날  고운사를  찾았을
                                                때는 최치원 선생의 글과 그
                                                의 생각에 대해 살펴보고 있

                                                던 때여서 시간이 날 때마다

                                                선생의 자취를 찾아 나선 발
                                                걸음이 여기에 이르렀다. 선
                                                생의 사상은 삼교회통에 바

                                                탕을 두고 있는 것이지만 나

                                                는 신라 말 육두품六頭品 출
                                                신의 비판적 지식인들이 가
                                                졌던 국가개혁에 대한 사상

                                                과 열정에 더 관심이 있었
          사진 2. 삼층석탑으로 오르는 계단.
                                                다. 그리고 고운 선생은 지
          식과 종교의 문제, 현실과 내세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하는 점과
          신라시대에도 현실의 문제를 종교에 의지하지 않고 지식과 제도에 기반하

          여 해결하려고 한 자세, 더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갖추기 위하여 당나라로 유

          학을 감행한 용기, 신라 말기 현실적 저항 속에서 국가를 개혁해 보려고 한
          실천적 지성, 정치와 지식인의 문제에서 지식인의 좌절 등등에 관하여 공
          감되는 부분이 있었다. 당시 내가 탐구하는 한국 헌법학의 좌표를 ‘이론적

          실천과 실천적 이론’으로 설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문제는 한국에서 헌



          126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