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고경 - 2024년 8월호 Vol. 136
P. 52

의  영역에서  어떤
                                                        형태로든 인공지능
                                                        과  공존의  지혜를

                                                        모색하지 않으면 생

                                                        존 자체가 불가능하
                                                        게  될지도  모른다
                                                        는, 인식의 대전환

                                                        을 촉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
                                                        적  분위기와  관련
                                                        하여  남방불교  국
          사진 1. AI 붓다(IA로 생성한 가상 이미지).
                                                        가인  태국  출라롱

          콘 대학의 소랏 헝라다롬Soraj Hongladarom 교수는 ‘자비로운 알고리즘
          (merciful algorithm)’이란 개념을 통해 미래의 불교가 지향해야 할 인공지능
          의 불교적 성격을 제안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인공지능이 ‘자비로운 것’

          이 되려면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원력과 실천을 자신의 기본값으로 설

          정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은  이론적으로  ‘기술적  탁월성(technological
          excellence)’과 ‘윤리적 탁월성(ethical excellence)’을 동시에 갖춘 ‘기계적 깨달
          음(machine enlightenment)’을 실현한 인공지능이 될 것이다.      2)

           다시 말해 그는 인공지능이 붓다의 자비로운 성품과 같은 윤리적 덕성

          을 갖출 때 비로소 정의롭고 평등한 인간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



          2)  Soraj Hongladarom(2020), The Ethics of AI and Robotics: A Buddhist Viewpoint(London: The
            Rowman&Littlefield Group, Inc.,); 소랏 헝라다롬 지음, 허남결 외 옮김(2022), 『불교의 시각에서 본 AI와
            로봇 윤리-불교, 인공지능과 로봇을 말하다』(서울: 씨아이알).


          50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