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고경 - 2024년 8월호 Vol. 136
P. 55
고 그간의 자초지종을 들어봐야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붓다의 교설인
지혜와 자비의 윤리는 언제나 현재 진행형임
과 동시에 미래 능동형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거듭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6)
이른바 생성형 인공지능은 인간이 입력한
질문에 대해 방대하게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
으로 적절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
사진 4. Ai ethics with buddhist
perspective.
동한다. 감탄할 정도로 놀랄 만한 부분이 있
(London: The Rowman&
Littlefield Group, Inc.).
는가 하면, 간혹 심각하게 멍청한 모습을 보
여 우리를 당혹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이는
인공지능의 ‘환각(hallucination)’ 현상에서 비롯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인간 본연의
교양과 상식을 이해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학습한 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설계에 따라 ‘발
생 가능한 결과’의 확률만 계산해서 보여주는
문제처리 방식 때문이다.
우리는 주체인 인간과 객체인 기계의 존재론 사진 5. 『불교의 시각에서 본
AI와 로봇 윤리』(서울: 씨
적 위계질서를 통계와 확률값으로만 성격 규정 아이알).
6) 불교의 시각에서 인공지능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 논문과 저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양성철(보
일),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선문답 알고리즘의 데이터-심리치료 상담챗봇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제84집, 2017); 한성자, “인공지능(AI) 로봇의 해탈 가능성-‘인간은 생각하는 기계인가’에 대한 불교적 관
점-”, 『한국불교학』(제85집, 2018); 김성옥, 이관수, “인공지능 ‘자유의지’ 논의에 대한 선결조건-<엑스마키
나(Ex Machina)>를 바라보는 불교와 과학의 시선”, 『불교학연구』(제70호, 2022); 보일(양성철), “디지털 휴먼에
대한 불교적 관점-악업의 증장인가, 선교방편인가-”, 『宗敎硏究』(제7집, 2022); 보일, “챗 GPT의 등장과
불교계의 대응방안, 『불교평론』(2023년 여름호); 보일 지음, 『AI 부디즘』(서울: 담앤북스, 2021) 등.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