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선림고경총서 - 07 - 임간록(상)
P. 125

임간록 상 125



                 만 번 담금질한 쇠 가시는
                 높은 값을 불러 봤자 만족할 수 없네

                 이리저리 오가며 껄껄껄 웃노라니
                 시비는 옆사람더러 가리라고 맡겨 두었네.
                 萬煅爐中鐵蒺黎 直須高價莫饒伊

                 橫來竪去呵呵笑 一任旁人鼓是非


                 하나의 터럭 끝에 시방이 다 나타나니
                 겹겹 화장세계 제석 그물 선뜻하다
                 귀하신 선재동자 어디 가시고
                 맑은 밤바람만이 대숲을 뒤흔드네.

                 十方齊現一毫端 華藏重重帝網寒
                 珍重善財何處去 淸宵風撼碧琅玗




              73.네 가지의 장봉/달관(達觀)스님



               달관(達觀:1138~1212)스님은 일찍이 뜻[義理]을 묻지 않는 납
            자를 속으로 비웃어 왔다.예를 들면 선종에는 네 가지의 비밀스런
            방편[四藏鋒]이 있으니,이치를 깨달음[就理],일을 깨달음[就事],이

            치와 일을 동시에 깨달음[入就],일과 이치를 동시에 벗어남[出就]
            을 말한다.그런데 그들은 글자는 보지도 않고서 ‘취리(就理)’를 ‘수

            리(袖裏)’로,‘출취(出就)’를 ‘출수(出袖)’로,‘입취(入就)’를 ‘입수(入
            袖)’로 바꾸어 썼으며,‘취사(就事)’만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부르고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