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선림고경총서 - 07 - 임간록(상)
P. 38

38



            (三要)를 갖춰야 한다”고 하셨으니,여기에서 현(玄)도 있고 요(要)도

            있는 까닭은 이 점을 밝힌 것임을 알겠다.그러나 모르는 자는 이것
            을 선문에서 세우는 임시방편의 말이라 하니,슬픈 일이다.





              12.스승을 높이는 바른 태도/천의 의회(天衣義懷)스님



               천의 의회(天衣義懷:992~1064)스님은 회산(淮山)에서 설법하
            다가 세 차례나 법석을 옮겼는데 납자들이 높이 받들어 그의 도가
            더욱 알려졌다.그때까지도 설두스님을 찾아뵙지 않았으나 설두스님

            은 이미 스님을 기특하게 생각하였다.한 스님이 의회스님의 법어를
            읽다가,‘비유하자면 기러기가 창공을 날 때 맑은 강물에 그림자를
            잠기우나 기러기에겐 그림자를 남기려는 뜻이 없고,강물은 그림자
            가 남기를 바라는 마음이 없다’는 구절에서 무릎을 치며 감탄하고는

            바로 사람을 보내어 문안드렸으나 스님은 그에게 그저 안부 편지
            한 통을 보냈을 뿐이었다.

               또한 위산 진여(潙山眞如:?~1095)스님이 가진 점흉(可眞點胸
            :?~1064)스님과 가장 오랫동안 사귀었던 사실은 총림에서 모두
            알고 있었으나 손님을 마주하여도 가진스님에 대하여 평소 보고 들
            은 일들을 한 번도 이야기한 적이 없었으며,재일에 영정을 걸어 놓

            고 다과만을 올릴 뿐이었다.
               이 두 노스님은 식견과 도량이 깊고 넓은데도 쓸쓸한 절에서 후

            학을 가르치며 살았으니,제대로 스승을 높이는 분이라 하겠다.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