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선림고경총서 - 07 - 임간록(상)
P. 42

42




            錄)의 첫머리에는 이런 기록이 있다.
               태조가 처음 상국사(相國寺)를 찾아갔을 때 승록(僧錄)직을 맡은
            찬녕(贊寧)스님에게 물었다.
               “부처님께 절을 올려야 합니까?”

               “ 절하지 마십시오.”
               그 이유를 물으니 찬녕스님은
               “현재불은 과거불에게 절하지 않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이를 계기로 그것을 제도화하였다 한다.
               두 분의 기록에는 모두 깊은 뜻이 담겨 있으며 결코 멋대로 꾸
            며낸 이야기가 아니다.군자는 사람들이 선을 실천하도록 돕는 일을

            즐긴다 하니,불선(不善)한 이를 선(善)하게 하는 그것을 긍지로 생
            각한 것이다.문충공은 항시 마음을 평온하게 가지기 어렵다고 한탄
            하였다지만 정말 그랬겠는가?





              16.유심도리를 깨침/원효대사(元曉大師)



               당대(唐代)의 원효(元曉:617~686)스님은 해동(海東)사람이다.
            처음 바다를 건너 중국에 와서 명산의 도인을 찾아 황량한 산길을
            홀로 걷다가 밤이 깊어 무덤 사이에서 자게 되었다.이때 몹시 목이

            말라 굴속에서 손으로 물을 떠 마셨는데 매우 달고 시원하였다.그
            러나 새벽녘에 일어나 보니 그것은 다름 아닌 해골 속에 고인 물이

            었다.몹시 메스꺼워 토해 버리려고 하다가 문득 크게 깨닫고 탄식
            하며 말하였다.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