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선림고경총서 - 33 - 종용록(중)
P. 40

40


                같다”하였으니,비단 밑의 달[羅月]이라고 썼어도 되었을 것이
                다.그러나 이백의 시에 “담쟁이덩굴 밑의 달[蘿月]은 아침 거
                울에 걸렸고,솔바람은 밤의 거문고 줄에서 운다”하였으니,역
                시 담쟁이덩굴 쪽이 멋이 있다.
                  천동은,몽롱한 새 달이 연기 같은 담쟁이덩굴에 숨어서 비
                추니 또렷하지는 못하나 이미 그 윤곽[圭角]은 드러났다는 점

                에서 그 승이 반쯤은 밝고 반쯤은 어두우며,살아 있는 듯도
                죽은 듯도 하다는 점을 송해 낸 것이다.만송은 마치 염철판관
                (鹽鐵判官:계산에 능숙한 관리)과 같노니 진실로 천동은 깊고
                세밀한 바늘과 실을 가지고 있지만 만일 실이 끊어진다면 비단
                에 새기는 문채는 끝내 이루기 어려웠으리라 하노라.
                  밀사백(密師伯)이 동산과 길을 가다가 흰토끼가 지나가는 것
                을 보자 이르되 “준수하도다”하니,동산이 묻되 “왜 그런가?”
                하고 다그쳐 물었다.밀사백이 대답하되 “마치 백의(白衣)의 몸

                으로 재상의 직위를 받은 것 같소이다”하니,동산이 이르되
                “건방지게도 그런 소리를 하다니……”하였다.밀사백이 도리
                어 묻되 “그대는 어떻게 여기는가?”하니,동산이 이르되 “여러
                대의 영화가 잠시에 몰락하도다”하였다.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상림부(上林賦)에 이르되 “천금같은 아
                들은 마루 끝[垂堂]에 앉지 않는다”하였고,완적(阮籍)은 항상
                시거(柴車:허술한 수레)에 앉아 길을 가다가 험궁한 곳을 만

                나면 문득 통곡을 하고 돌아왔는데,만송은 이르노니 “길을 찾
                아 집에 돌아올 수만 있다면 그대로가 몸을 돌이켜 아버지께
                돌아가는 도리라”하노라.듣지 못했는가?“한 생각 광채를 되
                돌리면 문득 본래 얻었던 것과 같다”하였으니,그렇다면 어찌
                하여 모든 부처님의 부동지가 중생들의 처지에서는 업식이 망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