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7 - 정독 선문정로
P. 827

현대어역  짐이 혜안스님과 신수스님 두 분을 모셔 궁중에서 공양하

                면서 조정의 국사를 보는 틈틈이 일승의 법을 질문하곤 합니다. 두
                분 스님이 모두 서로 미루고 양보하면서 “남방에 혜능선사가 있는데

                홍인대사의 가사와 법을 비밀스럽게 전수받았으니 그분께 물어보는
                것이 옳습니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이에 내시 설간을 파견하여 조

                서를 전하여 맞아들이고자 청합니다. 원컨대 스님께서는 자비한 마
                음으로 속히 상경하시기 바랍니다.



             [해설]  인용문에서 말하는 짐은 당의 중종이다. 그는 어머니 측천무

             후에게 섭정을 받던 시절, 측천무후에게 제위帝位를 내주고 물러났던
             시절, 반정으로 다시 제위에 복귀하는 시절을 거치며 굴곡 많은 생애를

             보낸 황제이다. 이 조서를 내리던 시기는 측천무후의 섭정을 받던 시절
             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짐’이 실질적으로 가리키는 것은 측천무후이

             다. 혜안스님이나 신수스님 모두 측천무후에게 국사의 예우를 받은 고
             승이다. 이들이 측천무후에게 6조스님을 천거했다는 것이다. 당시 6조

             스님은 병을 핑계로 응하지 않고 칙사 설간을 통해 돈오의 이치를 설해
             주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성철스님은 인용문을 통하여 ‘아난의 축출과 신수의 실격’을 거듭 말
             한다. 최고의 지혜를 갖춘 아난이고 신수였지만 유루번뇌의 완전한 멸

             진이 없었으므로 그 결과는 축출이고 실격일 뿐이었다는 것이다. 그러
             므로 실참실오의 진정한 깨달음이 아니라면 재발심하여 공안참구로 되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성철스님은 이렇게 말한다.


                그러니 활연누진豁然漏盡하여 무념무심하고 상적상조常寂常照하여

                원증견성圓證見性한 대원경지를 성취하기 이전에는 공안참구의 투




                                                            제16장 활연누진 · 827
   822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