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8 - 정독 선문정로
P. 858
때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조동종은 주류가 되지는 못했지만 끊어짐 없
이 유지되다가 일본에 건너가 크게 발전하게 된다. 중국의 전체 선종사
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당연히 임제종이다. 그래서
명·청 시기가 되면 임제종이 천하를 뒤덮고 조동종이 한구석을 차지하
고 있다는 말이 나오게 된다.
이 각 종파는 자신들만의 특징, 즉 종풍을 갖는다. 위앙종은 스승과
제자 간의 상호작용을 특히 중시하였다. 밥을 먹으려 하면 국을 내주
고, 강을 건너려 배를 타면 노를 젓는 식이다. 위앙종에서는 구체적으
로 96가지 원상(〇)을 가지고 수행자를 이끌었는데 그 핵심은 서로 주
고받는 데 있었다. 법연스님은 이것을 ‘부러진 비석이 옛길에 가로놓여
있는 격(斷碑橫古路)’이라 묘사했다. 또 기척이 드러나기 전에 완전히 합
일된다(暗機圓合), 목전에 다른 길이 없다(目前無異路), 밀어도 앞으로 나아
가지 않고 당겨도 뒤로 물러나지 않는다(推不向前, 約不退後), 뿔 없는 무
쇠소가 소실산에서 잠을 잔다(無角鐵牛眠少室)는 등의 표현도 있다. 앞과
뒤가 끊어져 어느 곳으로도 나아갈 길이 없는 수행의 현장을 비유한
말들이다.
이에 비해 임제종은 철추로 돌을 때려 불꽃을 일으키듯 단번에 수행
자의 생각을 끊고 실상을 깨닫게 하는 장군의 기풍이 있었다. 임제스님
의 회상에는 거의 전투와 같은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었다. 법연스님은
이에 대해 ‘5역 죄인이 우렛소리를 듣는 격(五逆聞雷)’이라 표현했다. 알고
이해하는 마음이 떨어지는 것이 마치 우레와 벼락에 간담이 내려앉고
뇌가 찢어지는 것 같다는 것이었다. 그만큼 선풍이 높고 극렬했다. 그래
서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과정에 있어서나 깨달음 이후에 있어서나 임제
종풍은 단도직입적이며 통쾌하고 활발함을 특징으로 한다.
임제스님의 무위진인無位眞人 설법은 그 통쾌함과 활발함의 좋은 예
858 · 정독精讀 선문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