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6 - 정독 선문정로
P. 956
┃부록┃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1
Ⅰ. 서론
『선문정로』는 성철스님이 제시한 간화선 참선 수행의 지침서로서 선
종의 돈오가 부처님의 원각과 같은 것임을 강조하는 돈오원각론, 개념
적 이해를 배격하고 실경계 체험을 강조하는 실참실오론, 아뢰야식의 3
세를 멸진한 무심이 견성의 내용이라는 구경무심론을 핵심적 주장으로
담고 있다. 이 세 가지 주장은 『선문정로』의 전체 설법을 관통하는 주
2
제 의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를 성철선의 3대 종지 라 할 수 있다.
1 이 글은 2021년 성철사상연구원 주최 춘계 학술연찬회, ‘퇴옹성철 스님의 불교
관 연구 2’에서 기조강연으로 발표하고 『퇴옹학보』 제18집에 수록한 논문에 약간
의 수정을 가한 것이다.
2 윤원철은 『선문정로』 돈오돈수설의 핵심이 견성즉불, 무심무념, 3관돌파, 사중득
활, 공안참구에 있다고 보고, 이들 개념과 명제들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성철선의 체계적 이해를 시도한 바 있다.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필자가 말
하는 돈오원각론은 윤원철의 견성즉불, 구경무심론은 무심무념, 실참실오론은 3
관돌파와 사중득활과 공안참구에 대한 논의와 근본 출발점에서 겹치는 점이 있
다. 이에 대해서는 윤원철(1994), pp.37-54 참조.
956 · 정독精讀 선문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