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 퇴옹학보 제17집
P. 112

112 • 『퇴옹학보』 제17집




            제나[恒] 집요하게[審] 사량[思量]하다’로 번역한다.            29)

               그리고 성철은 현수(643-712)의 “<말나식은 별도로 자체가 없어> 위
            로는 제8 아뢰야식과 합하고, 아래로는 제6 의식과 합하기 때문에 <별

            도로 세우지 않는다>.(<別無自體> 上合第八, 下合第六 <不別立也>)”는 구절을

            인용하면서, “이것도 일 리가 있는 말이지만 엄격하게 우리의 정신상태
            를 분석해 보면 제7식을 두는 것이 논리상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

               30)
            다.” 라고 하여, 말나식이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현수의 입장을 비판
                 31)
            한다.
               또한 아뢰야식의 또 다른 명칭인 ‘이숙식’에 대해 언급한 『구사론』,

            『섭대승론』,  『성유식론』,  『성유식론술기』에서의  근거  내용을  제시한
               32)
            다. 그리고 “이 심의식 문제를 잘 모르는 사람은 부처님이 입멸한 뒤




            29) 『성유식론술기』 2권(T43, 298b).
            30)  퇴옹성철(2014), 상권 371-372.
                  그런데 이 구절[上合第八, 下合第六]의 출처를 현수의 『대승기신론의기』 권2로 표기하고
               있지만,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31)  이 입장은 말나식을 전송식(傳送識)이라고 규정하는 명칭에서 유래한 것이다. 전송이란
               이쪽에서 저쪽으로 물건을 전해주거나 사람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말나식은 전
               송하는 역할을 하는 마음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말나식은 아뢰야식과 의식의 중간에
               위치하여 심층으로는 아뢰야식, 표층으로는 의식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말나식은 심층[아뢰야식]과 표층[의식]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두 마음을 연
               결하는 매개하는 마음이다. 그래서 현수는 “말나식은 위로는 제8 아뢰야식과 합하고, 아
               래로는 제6 의식과 합한다(上合第八, 下合第六)”고 하여 말나식은 두 식[아뢰야식과 의식]
               사이에서 전송자의 역할을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해 말나식이 중간의 전송자 역
               할만 하기 때문에, 다른 식[마음]과 달리 정확한 자기 역할이 없는 마음이라고 규정하여,
               필요 없는 마음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대표적인 사람이 현수이다. 성
               철은 이 입장을 비판하는 것이다.
            32)  성유식론술기』에서는 이숙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변이이숙(變異而熟)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