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0 - 퇴옹학보 제17집
P. 120

120 • 『퇴옹학보』 제17집




            해하기 때문에 성철은 감산과 지욱의 주석을 토대로 법문한다고 밝히

            고 있다.  45)
               어떤 방식으로 해설하는지 살펴보면, 먼저 『팔식규구』 본 게송을 제

            시하고서 게송에 등장한 용어와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식에

            대한 해설이 끝나고 나면 『유식삼십송』의 해당 게송과 6조 혜능이 8식
            에 대해 간략하게 해설한 「사지송」을 첨부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은 분

            량적으로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팔식규구』를 바탕으로 8가지 식에 대
            해 『팔식규구통설』로써 주석하고 있기 때문에, 유식의 핵심을 논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부분은 지면의 제약으로 다음 기회로 마루고자

            한다.



               6) 삼성중도설

            이곳에서는 유식의 중요한 교설 중의 하나인 삼성설[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을 중도로 설명한다. 먼저 변계소집성은 전혀 없는 것으로 도무

            (都無)이고, 의타기성은 임시적으로 있는 즉 가유(假有)이며, 원성실성은
            실유(實有)라고 한다. 이 삼성의 존재에 기초하여 중도는 다음과 같이 정

            의할 수 있다. 변계소집성은 무이기 때문에 유(有)가 아니다. 즉 비유(非

            有)이다. 의타기성과 원성실성은 유이기 때문에 무가 아니다. 즉 비무(非




                  이처럼 감산은 100개의 심소법을 『백법논의』을 통해 주석하고, 『성유식론』을 근거하여 8
               가지 식[팔식]을 압축적으로 정리한 『팔식규구』에 대한 주석서 『팔식규구통설』을 저작했
               다. 그리고 『백법논의』와 『팔식규구통설』을 저작한 이유는 참선수행자와 후대 학자를 위
               해 알게 쉽게 유식의 핵심 가르침을 제시하기 위해서라고 주석한다.
            45) 퇴옹성철(2014), 중권 327.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