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퇴옹학보 제17집
P. 121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  • 121




               無)이다. “이처럼 존재 전체를 3개의 모습으로 파악하면 ‘비유비무의 중

               도’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그런데 비유비무란 있는가, 없는가 라는 극
               단적인 견해에 머문다는 것이 아니다. 있다고 생각한 것은 무(無)이다.

               즉 변계소집성은 무이다. 그러나 허무는 아니다. 그리고 의타기성과 원

               성실성은 유(有)라는 인식 아래 우리는 마음을 닦아 깨달음에 이르려야
                                                                          46)
               하는 것이다. 이것이 삼성에 의한 비유비무의 중도를 설한 목적이다.”
               다시 말해 중도의 논리는 단순히 논리가 아니고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논리이다. 그 논리를 실천해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처

               럼 삼성으로서 중도를 파악하는 것을 ‘삼성중도(三性中道)’라고 한다. 이

               삼성중도는 다시 ‘삼성각성중도’와 ‘삼성대망중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성철은 삼성각성중도와 삼성대망중도를 현수의 저작인 『화엄일

                                        47)
               승교의분제장』로써 해설한다.  그 내용을 살펴보자. 삼성은 각각 두 가
               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원성실성에는 불변(不變, 변하지 않는다)과 수연(隨
               緣, 연에 따라 변한다)이 있다. 원성실성은 진리이기 때문에 불변이지만, 조

               건에 따라 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원성실성은 진공묘유와 같은 의미
               로 진공은 불변이고, 묘유는 수연에 해당한다. 의타기성은 사유(似有, 임

               시적으로 존재하다)와 무성(無性, 본질이 없다)이 있다. 즉 만법은 인연[조건]으

               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성이 없다는 것이다. 변계소집성은 정유(情有, 망
               정이 있다)와 이무(理無, 참된 도리가 없다)가 있다. 미혹의 망정은 있지만, 진

               실한 이치는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유식의 삼성중도이다. 이것을 삼성




               46) 요코야마 코이츠(2016), 89.
               47)  성철은 현수의 저작을 인용하는 이유를 “유식 계통의 논서에 있는 삼성설은 화엄종의 저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