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 퇴옹학보 제17집
P. 129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  • 129




                                          59)
                                                                     60)
               음을 유도[ābhoga]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
               서 ‘유도[發悟·警覺]’, 즉 ‘아보가(ābhoga)’는 특정한 대상으로 ‘마음을 유
               도하다[이끌다]’는 의미이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작의는 ‘마음을 처음으

               로 움직여서 대상에 향하도록 하여 집중[attention]하게 하는 심소[마음
                                                                  62)
                                                  61)
               작용]’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집론』 , 『유식삼십송석』 에서는 특
               정한 대상에 마음을 유도하는 것[ābhoga, 發動心]이고, 대상에 마음을 유

                                    63)
               지하는 것[dhāraṇa, 持心] 이라고 정의한다. 즉 작의는 마음을 유도할



               59)  cetasa ābhogaḥ //(Li and Steinkellner, 5, 5)
                     한역: 『대승오온론』(T31, 848c12-13), “능히 마음을 발오시키는 것을 본성으로 한다.(謂
                  能令心發悟爲性.)”
               60)  대승오온론』, 『집론』, 『유식삼십송석』에서 언급한 5변행심소와 5별경심소에 대해서는 <고경
                  『
                  (유식이야기)> 79호∼84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리고 5변행심소와 5별경심소는 <고경
                  (유식이야기)> 79호∼ 84호에 게재된 것을 수정, 보완했기 때문에 일부 중복된 내용이 있
                  음을 밝힌다.
               61)  집론』(범본)에서는 “<특정한 대상에> 마음을 유도하는 것[ābhoga]이다. 인식대상에 대해
                  『
                  마음을  유지하게[dhāraṇa]  하는  작용을  한다.”(cetasa  ābhogaḥ  /  ālambane
                  cittadhāraṇakarmakaḥ //Gokhale, 15, 38)라고 정의한다.
                      한역: “마음을 발동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로 삼는다. 소연의 대상에 대해 마음을
                  지니도록 하는 것[유지시키는 것]을 작용으로 삼는다.(『집론』(T31, 664a25-26), “謂發
                  動心爲體. 於所緣境持心爲業.”)
               62)  “작의란 <어떤 대상에 대해> 마음을 <오로지> 이끄는 것[ābhoga]이다. <마음을 어떤 대
                  상으로 향하여> 오로지 이끈다는 것은 <마음을 어떤 대상에> 오로지 집중시키는 것으
                  로, 이것에 의해 마음이 소연[대상]에 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것[작의]은 대상에 마
                  음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마음을 유지시킨다는 것[cittadhāraṇa]’은 동일한
                  대상[소연]에  마음을  반복해서  이끄는  것이다......(manaskāraḥ  cetasa  ābhogaḥ/
                  ābhujunam  ābhogaḥ/ālambane  yena  cittam  abhimukhīkrīyate/sa  punar
                  ālambane  cittadhāraṇakarmakaḥ/cittadhāraṇam  punas  tatraiva  ālambane
                  punaḥ punaḥcittasyāvarjanam......//Lévi, 20, 11)
               63)  지심[dhāraṇa]이란 외계대상으로 분산된[흩어진] 마음을 그 안에 머물게 하여 유지시키
                  는 것, 즉 삼매의 상태를 말한다.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