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퇴옹학보 제17집
P. 135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  • 135




               의해 생긴다는 구절을 해설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수(受, vedanā)

                 수란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 좋지도 싫지도 않은 대상을 감수하는
                                                          78)
               [받아들이는] 마음작용[심소]’이다. 왜냐하면 『구사론』  및 『대승오온론』에
               서는




                    “ 그것[수]은 세 가지 종류의 받아들임(領納, anubhava)이다. <그 세
                    가지 중에> 첫 번째는 고뇌(苦惱), 두 번째는 안락(安樂), 세 번째는

                    고뇌도 아니고 안락도 아닌 것[不苦不樂]이다. 안락이란 <낙수(樂受)
                    가> 소멸할 때에 결합이라는 바람이 존재하는 것이다. 고뇌란 <고
                    수(苦受)가> 생기할 때 괴리[벗어남]라는 바람[欲]이 존재하는 것이
                    다. 비고비락이란 <사수(捨受)가> 생기할 때  <결합과 괴리라는> 둘

                    의 바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79)


               라고 정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욱은 “순(順)과 위(違)와 비순비위[非






               78)  “이곳[게송]에서 수란 3종류의 영납이다. 즐거움, 괴로움, 즐거움도 괴로움도 아닌 것[不
                  苦不樂]이다.”(tatra  vedanā  trividho  ’nubhavaḥ/sukho  duḥkho  ’duḥkhāsukhaś
                  ca//(Pradhan, 54, 19-20)
                     한역: “이 중에서 수란 3종류의 영납으로, 고, 락, 구비[비고비락]의 차별[구별]이다.”(『구
                  사론』, T29, 19a17-18. “此中受謂三種領納苦樂俱非有差別故”)
               79)  trividho anubhavaḥ/sukho duhkho aduhkhāsukhaś ca sukha yasya nirodhe
                  saṃyogac  chando  bhavati/dukkho  yasyotpādādviyogac  chando  bhavati/
                  aduhkhāsukho yasyotpādāttadubhayam na bhavati//(Li and Steinkellner, 3,
                  10-13)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