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 퇴옹학보 제17집
P. 152

152 • 『퇴옹학보』 제17집




               4) 정(定, samādhi)

            정이란 ‘관찰된 대상(所觀境)에 대해 마음 깊이 집중하는 마음작용’이
            다. 『구사론』   135) , 『대승오온론』 136) , 『유식삼십송석』   137)  및 『집론』에서는

            “관찰된 대상에 대해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心一境性, cit-

            tasyaikāgratā]이다. 지(智, 지혜)의 의지처이다.”    138) 라고 정의한다. 그러므
            로 정이란 간단하게 정의하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마음작용’이라

            고 할 수 있다.
            지욱은 “이것[삼마지]은 정(定)이라고 번역[漢譯]한다. 관찰한 대상에 대

            해 마음이 오로지 기울여서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본성으로 하고,

            지(智)의 의지처이다.”     139) 라고 주석한다. 즉 정이란 ‘전주불산’이라고 정





            135) samādhiś cittasyaikāgratā//(Pradhan, 54, 23)
                한역: “삼마지란 심일경성이라고 한다.”(『구사론』(T29, 19a22))
            136)  한역: 『대승오온론』(T31, 848c18), “謂於所觀事令心一境不散爲性.”
                   범본: upaparīkṣye vastuni cittasyaikāgratā/(Li and Steinkellner, 6, 1-2)
            137)  “정이란 관찰된 사물들[대상]에 대하여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이다. ‘관찰
                된 사물[대상]’이란 <그것은 어떤> 덕성[공덕]이 있는가 혹은 <어떤 미혹의> 악성[과실]이
                있는가라는 것이 관찰된 대상이다.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ekāgratā)’
                이란 단지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이다. 지(智)의 의지처가 되는 작용을 갖는다.[지
                의 의지처이다] <왜냐하면> 마음이 정[삼매]에 들어 있을 때만 있는 그대로 두루 알기
                때문이다.”(samādhir-upaparīkṣye  vastuni  cittasyaikāgratā/upaparīkṣyaṃ
                vastu guṇato doṣato vā/ekāgratā ekālambanatā/ jñānasaṃniśrayadānakarmakaḥ/
                samāhite citte yathābhutaparijñāna//Lévi, 25, 28-30)
            138)  upaparīkṣye   vastuni   cittasyaikāgratā/jñānasanniśrayadānakarmakaḥ//
                (Gokhale, 16, 4-5)
               한역: “관찰된 것에 대해 심일경을 본질로 삼는다. 지의 의지처이다.”(『집론』(T31, 664b2-
               4), “謂於所觀事令心一境爲體. 智所依止爲業.”
                『
            139)  직해』(X48, 342c19), “此飜爲定. 於所觀境. 令心專注不散. 而爲體性. 智依此生.”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