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퇴옹학보 제17집
P. 17

퇴옹성철의 불학체계와 그 특징  • 17




               별로 최대의 무분별지’를 빠르고 결함 없이 증득[頓悟圓證]하기 위해서였

               을 것이다.
                 불학이 ‘무분별의 진리’와 이를 파악하는 ‘무분별지’를 체득하는 방법

               에는 대략 두 가지가 있다. ‘분별(分別)적인 방식’과 ‘직관으로 일시에 파

               악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전자를 분별설 혹은 분석설(分析說), 후자를
                                        16)
               일체설(一切說)이라고도 한다.  분별설은 구체적인 현상과 존재를 분석
               하고 분별해 진리를 찾는다.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설일체유부의 학승
               들이 주로 활용한 방법이다. 그들은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해

               진리를 찾았다. 물질적인 존재를 분석해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존재인

               ‘극미(極微)’와 현상의 흐름을 분석하다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찰나(刹
               那)’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다. 그들은 극미나 찰나 같은 개념적인 존재를

               토대로 일체 존재[一切法]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세분화했다. 『품류족
               론(品類足論)』에 나오는 5위67법, 『구사론』에 나오는 5위75법 등이 대표

               적이다. 분석의 결과 그들은 “주관은 공하나 객관은 공하지 않고[我空法

               有], 과거 현재 미래는 실재하며[三世實有], 개념적인 존재인 법체는 항상
               존재한다[法體恒有].”는 결론에 도달했다. 인무아(人無我)를 논증하려 사

               물과 현상을 나누고 분석하다 오히려 실재론에 빠져 들고 말았다.                      17)

                 일체설은 분별설과 다르다. 사물과 현상 하나하나를 분석하고 구분
               하지 않는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진리를 체득한다. “곧바로 오온이 공함

               을 파악해[照見五蘊皆空]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는[度一切苦厄]” 방식이다.




               16) 呂澄(2005), 7.
               17) 呂澄(2005), 46.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